저는 평창 동계올림픽 기념화폐를 처음 접했을 때의 기억이 아직 생생합니다. 은행 창구에서 안내를 받고 소장 욕구가 생겨나면서, 어떤 종류의 기념화폐가 있었는지 자세히 알아보게 되었습니다. 아래 내용은 제 경험을 바탕으로 정리한 기념화폐의 구성과 시세에 대한 간단한 안내입니다.
1. 평창 동계올림픽 기념화폐의 구성
평창 동계올림픽 기념화폐는 크게 기념 지폐(은행권)와 기념 주화(동전) 두 가지로 발행되었습니다. 발행 주체는 한국은행이 담당하고, 제조 및 판매는 한국조폐공사에서 이루어졌습니다.
A. 기념 지폐 (2,000원권)
액면가: 2,000원입니다. 발행 시기는 2017년 11월로 기록되어 있습니다.
특징으로는 앞면에 겨울 스포츠를 상징하는 디자인이 담겨 있으며, 뒷면에는 강원도를 대표하는 경관 요소가 표현되어 있습니다. 이러한 구성은 기념 지폐로서의 의미를 강조하기 위해 겨울올림픽의 분위기를 잘 담아내려는 의도로 제작되었습니다.
판매 형태는 다양하게 제공되었습니다. 낱장형은 전용 폴더에 포장되어 판매되었고, 2장 연결형은 한 장씩 연결된 형태로, 24장 전지형은 한 전지에 24장이 인쇄된 형태로도 판매되었습니다.
B. 기념 주화 (동전)
기념 주화는 두 차례에 걸쳐 발행되었습니다. 주로 금화, 은화, 황동화(구리-니켈 합금)로 구성되었습니다.
1차 발행 (2016년 11월)
다음과 같은 품목이 출시되었습니다.
• 30,000원 금화: 순도 99.9%, 무게 약 15.55g
• 20,000원 은화: 순도 99.9%, 무게 약 31.1g
• 10,000원 은화: 순도 99.9%, 무게 약 15.55g
• 5,000원 황동화(구리-니켈 합금): 무게 약 26.00g
2차 발행 (2017년 11월)
다음과 같은 품목이 추가로 출시되었습니다.
• 30,000원 금화: 아이스하키
• 20,000원 은화: 컬링
• 10,000원 은화: 쇼트트랙
• 5,000원 황동화: 동계 스포츠(썰매 종목과 설상 종목의 결합 디자인), 무게 약 26.00g
또한 1차와 2차 발행 각각의 단품 외에 다양한 세트 구성으로도 판매되었습니다. 예를 들어 금화 2종 세트, 은화 세트, 주화 전종 세트 등 여러 조합이 제공되었습니다.
2. 현재 시세(대략적)
기념화폐의 시세는 발행가와 차이가 날 수 있으며, 희소성, 보존 상태, 수집가의 수요, 그리고 금/은 시세의 변동 등에 따라 좌우됩니다. 아래 내용은 대략적인 참고 범위로 제시합니다. 실제 거래가와는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A. 기념 지폐 (2,000원권)
발행가(대략): 낱장형 약 8,000원, 2장 연결형 약 15,000원, 24장 전지형 약 168,000원 정도로 추정됩니다.
현재 시세(대략적):
• 낱장형(미사용, 전용 폴더 포함): 발행가 대비 소폭 상승하여 대략 10,000원 ~ 15,000원 사이에서 거래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 2장 연결형(미사용): 대략 20,000원 ~ 30,000원 선에서 호가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 24장 전지형(미사용): 희소성이 높은 편이라 발행가 대비 더 높은 가격으로 거래될 수 있으며, 200,000원 ~ 300,000원 이상에 형성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다만 보존 상태에 따라 차이가 큽니다.
B. 기념 주화 (동전)
시세 결정 요인은 주로 다음과 같습니다.
• 귀금속 함량: 금화와 은화는 국제 금/은 시세 변동에 직접 영향을 받습니다.
• 발행량(희소성): 발행량이 적은 주화일수록 가격이 높은 경향이 있습니다. 금화와 은화의 발행량 차이가 큽니다.
• 보존 상태: 프루프(Pure Proof)와 같이 최고 보존 상태의 미사용 주화가 더 높은 가치를 보입니다.
• 세트 구성: 단품보다 세트로 구성된 경우 가치가 더 높게 평가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현재 시세(대략적):
• 5,000원 황동화: 액면가보다 약간 높은 수준으로 거래되는 경우가 많아 대략 5,000원 ~ 10,000원 선에서 형성되기도 합니다. 세트 구매 시 더 높게 형성될 수 있습니다.
• 10,000원 은화(15.55g) 및 20,000원 은화(31.1g): 국제 은 시세에 따라 변동폭이 크지만 보통 50,000원 ~ 150,000원 이상으로 호가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발행량이 적고 디자인이 선호될 때 더 높은 가격이 성립합니다.
• 30,000원 금화(15.55g): 가장 고가의 주화로, 국제 금 시세에 따라 크게 변동합니다. 현재 시세는 대략 100만원 ~ 200만원대 이상으로 제시되기도 하며, 발행 당시 가격보다 훨씬 높게 거래될 수 있습니다.
시세 확인 방법
• 전문 화폐상/수집상: 오프라인 또는 온라인 전문점의 상담이 가장 신뢰할 수 있습니다. 현재 시세와 상태를 함께 확인해 주는 곳이 많습니다.
• 온라인 경매 사이트: 국내외 경매 플랫폼에서 최근 낙찰가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 온라인 중고 거래 플랫폼/커뮤니티: 개인 간 거래 시세를 확인하는 데 유용하지만, 위조품 여부나 상태를 꼼꼼히 확인하시길 권합니다.
주의사항으로는 시세가 시시각각 변동하므로, 실제 거래를 진행하실 때는 최신 정보를 확인하고, 보존 상태를 가능한 한 꼼꼼하게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신뢰할 수 있는 판매처를 이용하시고, 가품 여부를 주의 깊게 점검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