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카카오톡으로 한 지인과 대화를 나누던 중, 상대방이 나를 친구 추가에서 차단했는지 확실히 가려내는 것이 생각보다 어렵다는 경험을 했습니다. 상대방의 의도나 설정에 따라 상황이 달라질 수 있기 때문인데요. 이 글은 그런 상황에서 도움이 될 수 있도록, 직접적인 확인 방법은 없지만 여러 간접 신호를 통해 추측해보는 방법을 정리한 내용입니다. 다만 어떤 신호도 100% 확정은 아니라는 점을 먼저 말씀드립니다. 서로의 프라이버시를 존중하고, 필요하다면 정중하게 확인하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상대방이 나를 차단했는지 확인하는 간접적인 방법

프로필 변화 및 메시지 전송 여부 확인

  • 상대방의 프로필 사진이나 상태 메시지가 기본 이미지로 보이거나 업데이트가 전혀 없으면 차단을 의심할 수 있습니다. 다만 상대가 프로필 정보를 비공개로 설정했거나 계정을 잠시 비활성화했을 가능성도 있습니다.
  • 내가 보낸 메시지가 일정 시간 이후에도 “1”로만 남아있고 읽히지 않는다면 차단 가능성의 신호일 수 있습니다. 다만 네트워크 상태나 상대의 알림 설정에 따라 지연되거나 표시가 달라질 수 있습니다.
  • 종합적으로 보면, 상대의 프로필이 기본으로 보이고 내가 보낸 메시지가 계속 1에 머물러 있다면 차단 여부를 의심해볼 수 있습니다. 다만 다른 원인도 있을 수 있으니 단정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카카오톡 선물하기 시도

  • 상대방에게 이모티콘이나 선물권을 보내는 시도를 통해 상태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선물하기 화면에서 상대를 선택했을 때 불가능하다고 표시되면 차단 가능성을 고려해볼 수 있습니다.
  • 다만 상대가 선물 수신을 차단하거나 특정 시점에 수신 거부를 설정한 경우에도 같은 메시지가 뜰 수 있습니다. 따라서 1번 방법과 함께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그룹 채팅 초대 시도

  • 새로운 그룹 채팅방을 만들어 상대방을 초대해보면, 차단 상태일 때 초대 자체가 되지 않거나 알림이 가지 않는 경우가 있습니다.
  • 하지만 그룹 초대가 가능하더라도 상대가 초대를 무시하거나 참여하지 않는 경우가 있어, 신호를 단정하기 어렵습니다.

친구 추가 시도

  • 이미 친구 목록에서 해당 사용자를 삭제한 뒤 아이디나 전화번호로 재추가를 시도해보면, “친구를 찾을 수 없습니다”나 “친구 추가 대상이 아닙니다”라는 메시지가 나올 수 있습니다.
  • 다만 상대가 친구 추가 허용 설정을 일시적으로 제한한 경우도 있어, 이 역시 단정은 어렵습니다.

내가 특정 친구를 차단했는지 확인하는 방법

  1. 카카오톡 실행 후 화면 하단의 친구 탭으로 이동합니다.
  2. 오른쪽 상단의 톱니바퀴 아이콘을 눌러 설정에 들어갑니다.
  3. 메뉴에서 친구 관리를 선택합니다.
  4. 다음 화면에서 차단친구 관리를 탭합니다.
  5. 차단 목록에 본인이 차단한 친구들이 나열되어 있습니다. 여기에서 차단 해제하거나, 특정 친구의 메시지 차단 해제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

정리 및 주의점

  • 상대방이 나를 차단했는지 여부를 확정하는 공식적인 방법은 제공되지 않습니다. 따라서 여러 징후를 종합해 추측하는 것이 현실적입니다. 프로필 변화, 메시지 전송 상태, 선물하기 가능 여부, 그룹 초대 여부 등이 대표적인 신호로 활용됩니다.
  • 반대로 내가 누군가를 차단했는지 여부는 비교적 명확합니다. 카카오톡 도움말의 안내를 참고하면 설정 경로를 쉽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 상대방의 프라이버시 설정이나 계정 상태는 예고 없이 바뀔 수 있습니다. 따라서 신호가 불분명할 때는 직접적으로 상황을 확인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며, 대화를 통해 오해를 풀어보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참고로, 이 글은 실사용 사례에 기반한 일반적인 안내이며, 실제 서비스의 기능이나 메시지 표시는 업데이트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필요한 경우 공식 도움말 페이지를 확인하거나, 상대방과의 커뮤니케이션을 통해 상황을 명확히 하는 것을 권합니다.